본문 바로가기
훈민아동발달센터 공지

영아연축 발달과 치료 목표

by 훈민아동발달센터 2025. 3. 11.
320x100
300x250

영아연축 발달과 치료 목표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연축은 조기 소실될 수 있으나 장기적 예후는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다수가 다른 종류의 경련으로 이행하며 80~90%에서 정신운동성 지체가 발생한다.

 

치료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영아 연축에 의한 발달 저하를 빨리 막아 가능한 환자의 발달을 정상 지능까지 최대한 발달진행시켜 주는 것이다. 가장한 빨리 치료방법을 정하여 경련을 조절하는 것을 권한다.

 

 

영아 연축(소아 간질)은 발달에 따라서 3가지로 나뉘게 된다 1. 양성, 2. 중간성, 3. 파국성으로 영아연축은 전형적으로 파국성 간질 중 가장 중요한 질환이다. 연축 양상의 경련, 고부정뇌파로 알려진 뇌파, 발달지체 소견이 임상적으로 나타난다.

 

소아기 간질 발달평가에서  3세 미만은 베일리 영아발달검사, 한국웨슬러 유아지능검사, 한국웨슬러 아동지능검사로 발달지수인 DQ(development quotient)가 중요한 발달 척도록 보기도 한다.

 

치료방법에는 케톤식, 항경련제, 스테로이드, 간질 수술등을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중 가장 많은 예후로 나오는 것이 스테로이드 요법으로 치료할 때 단시간에는 정상발달소견이 보이지만 이후는 반절 안 되는 아동에게 정상발달을 보인하고 하였다. 경련이 있는 환아에서 정상적인 발달의 가능성이 12~24개월 사이에 감사된다. 치료가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보고마다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수술에 가장 효과적으로 알려진 것은 MCD를 가진 환아로 일부 아동에서는 케톤식으로 발작이 조절된 경우도 있다.

 

치료목표에 영아 연축에서의 치료방법 중 또하나의 중요한 치료는 발작 조절과 같이 아동이 정상발달을 할 수 있도록 재활에 집중하는 것도 중요한다. 치료가 진행될수록 아동의 컨디션조절과 같이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놓지 않고 꾸준히 해주는 것이 매우 중요한 발달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렇다면 치료목표는 항상 경련 조절 및 발달 두 가지 관점을 고려하여 치료를 하며 빠른 발작조절이 치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질 발병 시 신속한 진단과 경련 조절뿐만 아니라 발달예후에 영향을 미친다 경련이 잘 조절되지 않을수록 더 심한 발달 지연소견을 보이는 경향이 나타나고 대부분의 보고에서 경련 양상이 조절되면 잠재적인 지능에 도달하도록 발달의 진행양상을 변화될 수 있다.

 

영아연축은 치료 시 보호자가 아동의 컨디션을 잘 조절해 주고 꾸준한 재활치료를 통해서 아동에게 정상발달을 할 수 있도록 꾸준히 도움과 동시에 약물 혹은 비약물적 치료로 아동이 빠른 간질 발병을 없애고 최소한의 뇌손상만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꾸준한 치료를 통해서 아동이 많은 발전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훈민아동발달센터-

 

320x100